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농가진 피부병

by mynews3627 2025. 8. 20.
반응형

 

 

농가진
농가진

 

 

 

농가진(膿痂疹, Impetigo) 피부병 종합 안내

농가진은 피부에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성 피부질환으로, 주로 소아에서 흔하게 발생하지만 성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이나 위생 관리가 미흡한 환경에서 쉽게 발생하며, 피부에 작은 상처나 벌레 물린 자리가 있을 때 세균이 침투해 발병합니다.

1. 농가진의 정의와 개요

원인균은 주로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또는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Group A Streptococcus)입니다. 농가진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 비수포형 농가진(non-bullous impetigo): 가장 흔하며, 작은 구진에서 시작해 진물과 황색 가피(딱지)가 형성됨
  • 수포형 농가진(bullous impetigo): 독소에 의해 수포가 형성되고 쉽게 터져 진물이 흐르는 형태

2. 발생 원인과 병태생리

농가진은 건강한 피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피부 장벽이 손상된 부위에서 시작됩니다. 세균은 피부 표면에 독소를 분비하거나 침투하여 국소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원인균 주요 특징
황색포도알균 수포형 농가진 유발, 독소로 인해 수포 형성
연쇄상구균 비수포형 농가진 유발, 피부 상피 침투하여 농포 형성

3. 주요 증상

비수포형 농가진

  • 홍반성 반점 → 구진, 농포 진행
  • 농포가 터지면서 황색 꿀빛 딱지 형성
  • 주로 얼굴, 코 주위, 입가, 손, 목 등 발생
  • 가려움 심하나 통증은 크지 않음

수포형 농가진

  • 맑은 장액성 수포 발생 후 터져 진물
  • 얇은 황색 딱지가 남음
  • 주로 신생아, 영유아에서 흔함

전신 증상

드물지만 발열, 림프절 비대, 전신 권태감이 동반될 수 있으며, 2차 감염 시 심한 통증과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감염 경로와 전염성

농가진은 매우 전염력이 강한 피부병입니다.

  • 직접 접촉: 환자의 병변을 만질 때
  • 간접 접촉: 수건, 침구, 장난감, 옷을 통해 전염
  • 자가 접종: 손으로 병변 긁은 뒤 다른 피부 부위로 전염

5. 진단 방법

대부분은 임상적 소견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필요시 세균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 확인 및 내성 판별을 합니다.

6. 치료 방법

국소 치료

  • 무피로신(mupirocin), 푸시드산(fusidic acid) 연고 도포
  • 하루 2~3회, 5~7일 사용

전신 치료

  • 세팔렉신,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등 경구 항생제
  • MRSA 의심 시 클린다마이신, TMP-SMX 고려

보조 요법

  • 손톱을 짧게 유지해 2차 감염 예방
  • 개인위생 철저 및 침구·의류 따로 세탁

 

7. 합병증

  • 봉와직염(Cellulitis)
  • 림프절염
  • 패혈증
  • 사구체신염(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8. 예방법

  • 피부 상처 청결 유지
  • 손 씻기 생활화
  • 환자와 물건 공유 금지
  • 집단생활 시 감염자 격리 필요

9. 생활 관리 및 환자 지도

  • 항생제 복용은 처방 기간 끝까지
  • 연고 도포 시 위생적으로 실시
  • 딱지는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두기
  • 손톱 관리 및 긁지 않도록 지도
  • 보습제 사용으로 피부 장벽 보호

10. 결론

농가진은 가벼운 피부 질환으로 보이지만, 전염성이 강하고 합병증 위험이 존재합니다. 조기에 치료하고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대부분은 후유증 없이 완치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와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므로, 보호자의 주의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